한국어교육 공부
-
문식성한국어교육 공부/읽기쓰기교육 2025. 4. 29. 19:35
교수법1. 학습, 언어2. 목표, 교육과정, 교수요목, 교사&학습자의 역할, 자료, 활동3. 기법, 절차 CBI: 내용중심교육법 비판적문식성단순히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게 아니라, ... '왜 이 단어를 사용했을까?''가치판단이 들어간 어휘 사용... 찾아내 보세여!'신문마다 다른 정치성향... 각 신문의 각 기사가 어떤 단어를 사용했는지, 왜 어떤 입장으로 저렇게 언어를 manipulate하고 있는지. 사회적으로도 볼 수 있음외국 신문에서는 어떻게 보도 했고, 그걸 한국에서는 어떻게 번역해서 보도했는지. 온라인 자료에 대한 비판적 문식성 (Sourcing)정보의 출처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는 것, 믿을 수 있는 자료인지? 이런 것들을 전략으로서 활용하는지 아닌지, 숙달도에 따라 어떤지 에 관한 연구..
-
4주차까지 강의를 듣고...!한국어교육 공부/읽기쓰기교육 2025. 3. 30. 17:34
강의 하나 듣는 데 중간에 필기하랴, 모르는 거 검색해보랴, 관련 논문 찾아보랴, 블로그에 정리하랴 시간이 너어무 오래 걸린다. '왜 이런 거까지 알아야 되지? 참 깊고도 방대하다-' 싶을 때면 교수님이 중간중간 이런 것들을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 어떤 교재를 만들어 볼 수 있을지 생각해보라며 이것이 단순한 연구가 아님을 상기시켜 주신다. 이론과 연구 논문들의 바다에 빠져 뭘 해야 할지도 모른 채 허우적대는 나를 뜰채로 건져 올려주시는 순간들ㅎㅎ 하 도움 될 것 같고 재미있어 보이는 논문들은 너무 많은데 시간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잠을 줄여야 하나 좋은 내용들이 너무 많은데 자료유출금지 때문에 포스팅을 공개로 돌릴 수 없는 것도 아쉽다 그래도 미래의 나를 위해 열심히 정리해..
-
1주차 국어와 국어 문법한국어교육 공부/한국어학개론 2025. 3. 23. 18:39
[한국어의 특징]구어의 경우, 어순 비교적 자유로움. 격조사가 체언 뒤에서 어떤 역할인지를 정확히 보여주기 때문.교착어: 깨 / 뜨 / 리 / 시 / 었 / 겠 / 더 / 군 / 요조사, 어미 풍부의존 명사 (ex. 것), 단위성 의존 명사(개, 명, 병, 권...) 가 발달유정 명사(살아 있는 것)와 무정 명사(살아 있지 않은 것)가 형태론적으로 구분되어 있음비통사적 합성법 등 특이한 단어 형성법존댓말 발달이중 주어, 이중 목적어 구문 존재 (ex. 토끼가 귀가 크다 / 영수가 핸드폰을 아이폰을 샀다) ... 근데 왜 학생들이 이걸 왜 생산 안 할까? 좋은 연구 주제 될 듯주어 - 목적어 - 서술어 순서자동사와 타동사의 주어 형태가 같은 대격 언어 (ex. 아이가 운다 / 아이가 밥을 먹는다)주어, 목..
-
한국어 읽기 교육론한국어교육 공부/한국어교육학개론 2025. 2. 6. 23:08
읽기… 를 가르치면서 한국어를 가르친다고 생각했지 ‘읽기 기술’ 이나 ‘전략’ 을 가르친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는데 읽기 기술이나 전략을 통해 한국어로도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면 … !!! 아니 이미 이런 학생 몇 명 있다 👏🏻학생이 능동적 독자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기!읽기를 읽기 자체로만 활용한다면 (영어로) 말은 잘 못하는데 독해력만 좋은 스무살의 나를 재생산하게 되는 위험^_^… 절대 멈춰영어 수업에서만 활용하던 것들이 있다 적절히 섞어 학생마다 다르게 개인화하여 수업 만들어 보기!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장기기억’. 아무리 좋은 표현이라도 개인화시켜 계속 사용하지 않으면 절대 기억에 남지 않는다. 학생 몫이 크지만 내 선에서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도와줘야지 다양한 활동으..
-
한국어 듣기 교육론한국어교육 공부/한국어교육학개론 2025. 2. 4. 16:48
가장 눈에 띄는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이름부터가 마음에 드는구만사실 근데 뭐가 더 좋다 이런 거보다 의사소통중심을 목표로 잡되 초중급에서는 직접식 청각구두식도 섞어가며 하는 게 효과가 없진 않았던 것 같네학생이 알아들을 수 있게만 말해주는 것도 듣기를 통한 자연스런 습득에는 도움이 안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앞장에는 문법번역식 교수법도 있었는데 한국식 영어교육 PTSD 와서 제껴버림🤭너무나 동의하는 바입니다. 살아있는 한국어 센스있는 한국어 담백한 한국어 재미있는 한국어를 들려주고파요…
-
제20장 말한국어교육 공부/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1 2023. 1. 14. 09:51
1. 말의 구조 1.1. 시작과 마무리 - 한국인은 대화를 어떻게 시작하고 어떻게 마무리할까? 사람들은 자국어로 대화를 할 때 어떻게 말을 시작해서 어떻게 마무리하는지를 알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로 말할 때는 이러한 것이 쉽지 않다. 다음은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대화를 시작하거나 마무리할 때 필요한 표현이 포함된 대화로 유능한 한국어 학습자가 아니고는 실제 대화에서 이렇게 자연스럽게 시작하고 끝내는 것이 쉽지 않다. (1) 민경: 여보세요? 소아: 여보세요? 민경: 나 민경인데, 기말보고서는 잘 끝냈니? 소아: 안 그래도 전화하려던 참이었는데, 덕분에 잘 끝냈어. 네 책을 언제 돌려줄까? 민경: 어, 나 내일 학교 가는데 ・・・・・・. 소아: 내가 밥 한 끼 살게. 내일 점심 때 시간 되니? 민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