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 공부
-
제2장 한국어 문법의 기술과 내용 체계 수립 방향한국어교육 공부/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1 2022. 3. 22. 10:56
1. 한국어 문법 기술의 방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은 한국어에 대한 직관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이나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한국어 지식을 학습하도록 해 주는 것이 목표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은 학교문법의 체계화 방법과 달리 의사소통에 필요한 요소를 중심으로 체계화해야 한다. 예컨대 한국어의 자음 체계, 모음 체계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단순히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 외국어로서의 한국 문법 교육에서는 그와 함께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어떻게 발음하는지, 주의점은 무엇인지, 수준별/언어권별로 어떤 잘못을 자주 범하는지, 다른 유형의 언어의 발음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기술해야 한다. 학교문법에서는 한국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을 가지고 있으..
-
[제1부] 제1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한국어교육 공부/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1 2022. 3. 9. 16:18
[제1부] 한국어 문법 교육과 한국어 - [제1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1.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을 기술한 이 책에서는 그 대상을 한국어의 문장, 한국어의 문법 요소, 한국어의 단어, 말의 소리, 담화로 잡았다. 문법 지식 그 자체가 수업의 본질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그러나 의사소통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문법 지식을 기능, 과제 등에 통합하여 가르치거나 배우는 것에는 대부분 반대가 없다. 문법 지식은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기반이 되기 때문에 교육할 필요가 있지만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기능 교육과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 기능 교육과 함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2. 한국어 문법 교육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