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장 한국어 문법의 기술과 내용 체계 수립 방향한국어교육 공부/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1 2022. 3. 22. 10:56
1. 한국어 문법 기술의 방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은 한국어에 대한 직관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이나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한국어 지식을 학습하도록 해 주는 것이 목표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은 학교문법의 체계화 방법과 달리 의사소통에 필요한 요소를 중심으로 체계화해야 한다. 예컨대 한국어의 자음 체계, 모음 체계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단순히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 외국어로서의 한국 문법 교육에서는 그와 함께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어떻게 발음하는지, 주의점은 무엇인지, 수준별/언어권별로 어떤 잘못을 자주 범하는지, 다른 유형의 언어의 발음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기술해야 한다.
학교문법에서는 한국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을 가지고 있으나 비교적 어순이 자유롭다고 기술하면 충분하다. 그러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에서는 이에 더해 어떤 상황에서 어순이 자유로울 수 있는지 기술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에서는 대등적으로 연결된 문장과 종속적으로 연결된 문장을 구분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다. 오히려 유창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개별 연결어미의 의미와 쓰임, 함께 어울려 쓰이는 말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종속절, 부사절을 구분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각 어미들의 쓰임을 수준에 맞게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을 기술하고자 할 때는 무엇보다도 학습의 능률성, 의사소통상의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토끼가 앞발이 짧다” 와 같이 주어가 둘 이상 나타나는 문장은,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개념인 ‘주어’를 가지고 설명하되 한국어의 형용사 가운데 주어를 둘 이상 필요로 하는 형용사의 부류를 제시하고 그 쓰임을 상세하게 설명해 주는 것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는 바람에, -(으)ㄹ 것 같다, -(으)ㄹ 것이다 등의 말처럼 몇 개의 형태가 모여 하나의 소통 단위를 이루는 경우는 이를 하나의 단위로서 설명해야 한다. (가르치다보면 한 글자씩 분석하려는 학생들이 있다. 덩어리가 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가르쳐야 함.)
*학습자 오류 정보 제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에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오류 유형이나 오류 경향을 체계화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모어의 간섭 때문에 나타나는 오류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문법을 정확하게 알지 못해서 자주 범하게 되는 오류 역시 체계적으로 기술될 필요가 있다. (ex. 한국어 이인칭 대명사 ‘너’의 높임말에 ‘당신’이 있다고 하고 그 사용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놓지 않으면 아무에게나 ‘당신’을 쓰는 오류를 범함)
‘면서’를 쓰면서 서로 다른 주어 2개를 사용한다든지, ‘아/어서’를 과거 시제와 결합한다든지 하는 실수 등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법에 대한 지식을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해서 빈번히 범하는 오류의 유형은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해 주어야 한다.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은 쓰임, 사용 상황, 결합 정보 등을 제시해 주지 않으면 쉽게 틀릴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문법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고려하여 한국어 문법의 교수-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해 주어야 한다.
*구체적 상황 정보 제시
한국어는 높임법이 매우 발달한 언어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은 이들 종결어미를 가려서 사용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에서는 각각의 어미들이 사용되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어 교수, 학습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높임의 등급에 따라 구분되는 주요 종결어미의 구체적 정보 제시의 예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19쪽)
*이해하기 쉬운 문법 용어 사용
용언은 ‘동사’, ‘형용사’로, 체언은 ‘명사’, ‘대명사’, ‘수사’로 수식언은 ‘수식하는 말’, 음운은 ‘말의 소리’, 음운의 변동은 ‘소리의 변동’ 등으로 개념은 조금 차이가 있을지라도 교수-학습상의 오해를 주지 않는다면 더 쉬운 말로 기술해야 한다. 또한, 어려운 문법 용어일수록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2. 한국어 문법의 내용 체계 수립 방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의 내용 체계는 의사소통 기능 신장을 위한 기반 지식이 될 수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기준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내용 체계의 대범주에는 한국어의 특징, 한국어의 발음, 한국어의 단어, 한국어의 문장 구성,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한국어의 사용 원리, 한국어의 규범, 한국어의 사용의 태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이 내용은 커뮤니케이션북스에서 출간한 국립국어원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이 책의 전자책 버전을 세종학당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교육 공부 > 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장 문장성분 (0) 2022.04.11 [제2부] 제5장 문장구조 (0) 2022.04.08 제4장 한국어의 문자 (0) 2022.04.07 제3장 한국어의 특징 (0) 2022.04.05 [제1부] 제1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0) 2022.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