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부] 제1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한국어교육 공부/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1 2022. 3. 9. 16:18
[제1부] 한국어 문법 교육과 한국어 - [제1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1.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을 기술한 이 책에서는 그 대상을 한국어의 문장, 한국어의 문법 요소, 한국어의 단어, 말의 소리, 담화로 잡았다.
문법 지식 그 자체가 수업의 본질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그러나 의사소통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문법 지식을 기능, 과제 등에 통합하여 가르치거나 배우는 것에는 대부분 반대가 없다. 문법 지식은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기반이 되기 때문에 교육할 필요가 있지만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기능 교육과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 기능 교육과 함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2.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
한국어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익혀 한국어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물론 한국어의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한국어를 사랑하고 가꾸어 나가는 태도를 기르는 것 역시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적이 될 수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을 통한 사고 능력이나 탐구 능력, 한국어를 아끼는 태도 신장이 본질적인 목표라고 할 수는 없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도 구분되어야 한다. 한국어 문법 교육은 한국어 교육의 한 영역에 해당하므로 그 목표가 한국어 교육의 목표에 포함되어야 한다. 한국어 교육의 목표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면 한국어 문법 교육은 상황을 고려하여 정확하고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음성, 단어, 문장, 문법 요소, 대화나 이야기와 관련된 한국어 문법 지식을 익히는 것이 그 목표가 되어야 한다.이 내용은 커뮤니케이션북스에서 출간한 국립국어원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이 책의 전자책 버전을 세종학당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교육 공부 > 국립국어원 한국어문법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장 문장성분 (0) 2022.04.11 [제2부] 제5장 문장구조 (0) 2022.04.08 제4장 한국어의 문자 (0) 2022.04.07 제3장 한국어의 특징 (0) 2022.04.05 제2장 한국어 문법의 기술과 내용 체계 수립 방향 (0) 202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