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집과
-
-
맡겨진 소녀수집과/문장 채집 2024. 10. 1. 14:44
50킨셀라 아저씨가 나를 보며 어색한 미소를 짓더니 참새가 앉아서 날개를 가다듬는 창틀 쪽으로 시선을 돌린다. 작은 새는 불안해 보인다. 가끔 그 자리에 앉는 고양이 냄새를 맡은 것 같다. 킨셀라 아저씨의 시선이 어딘가 흔들리고 있다. 아저씨의 마음속 저 안쪽에서 커다란 문제가 기지개를 켜는 것 같다. 60아저씨가 나를 위해서 레드 레모네이드를 컵에 따라 준다. 나는 아저씨의 무릎에 앉아 레모네이드를 마시면서 비스킷 통에 담긴 퀸 케이크를 먹고 죽은 남자를 보며 그가 눈을 뜨기를 바란다. 사람들이 왔다가 가고, 들락날락거리고, 악수를 나누고, 먹고 마시며 죽은 남자를 보고, 정말 멋진 시신이라고, 드디어 끝나서 행복해 보이지 않느냐고, 누가 그를 관에 눕혔느냐고 말한다. 또 일기예보와 옥수수의 수분 함량..
-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수집과/문장 채집 2022. 11. 15. 12:56
[몸 때문이 아니라 뇌 때문이다] 뇌의 어느 부분이 인간의 능력(의욕, 집중력, 학습능력, 기억력, 상상력, 업무효율 등)에 관여하는지, 그 기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지가 구체적으로 알려지게 됐다. '노오오력'을 해야 한다는 정신력, 마음가짐을 끌어모아 불쾌한 일을 계속하면 절대 업무효율이 오르지 않는다. 뇌가 자연스럽게 도파민을 분비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내가 하는 업무에 가장 잘 맞고 꼭 필요한 신경전달물질이 뭔지 알고, 그것을 활용하면 업무효율이 올라가고 스트레스가 최소화될 수 있다. 억지 노력으로 건강을 해치거나 우울증에 빠지지 않고 말이다. [인생을 바꿔줄 7가지 기적의 물질] 뇌 내 물질 각각의 역할을 알면, 감정과 의욕을 의도적으로 바꿀 수 있다.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
-
Deep Work수집과/문장 채집 2022. 5. 10. 10:12
- 딥워크 인지능력을 한계까지 밀어붙이는 완전한 집중의 상태에서 수행하는 직업적 활동. 딥워크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능력을 향상시키며, 따라하기 어렵다. - 피상적 작업 지적 능력이 필요하지 않고, 종종 다른 곳에 정신을 팔면서 수행하는 부수적인 작업. 피상적 작업은 새로운 가치를 많이 창출하지 않으며, 따라하기 쉽다. 엑셀 매크로로 대신할 수 있는 업무를 하는 한 야심을 달성할 수 없다는 사실이 곧 명백해졌다. 그는 자신의 가치를 높여야겠다고 결심했다. 딥워크가 귀중한 두 번째 이유는 Digital Network 혁명이 상반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유용한 가치를 하나 창조하면 거의 무한한 소비자 (가령 고용주나 고객) 에게 도달할 수 있다. 그래서 보상을 크게 키울 수 있다. 반면 결과물..
-
스스로 행복하라수집과/문장 채집 2021. 12. 6. 09:22
법정 스님 일상의 소용돌이에서 한 생각 돌이켜 선뜻 버리고 떠나는 일은 새로운 삶의 출발로 이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비슷비슷한 되풀이로 찌들고 퇴색해가는 범속한 삶에서 뛰쳐나오려면, 나무들이 달고 있던 잎을 미련 없이 떨쳐버리는 그런 결단과 용기가 있어야 한다. 한 해가 기우는 마지막 달에 자기 몫의 삶을 살고 있는 우리는 저마다 오던 길을 한 번쯤 되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삶에 만족할 수 있다면 그는 새로운 삶을 포기한 인생의 중고품이나 다름이 없다. 그의 혼은 이미 빚을 잃고 무디어진 것이다. 우리가 산다는 것은 끝없는 탐구이고 시도이며 실험이다. 그런데 이 탐구와 시도와 실험이 따르지 않는 삶은 이미 끝난 것이다 다름없다. 자연의 리듬은 멈추거나 끝나는 일이 절대로 없다. 자연은 스스로..
-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수집과/문장 채집 2021. 11. 16. 10:53
무라카미 하루키 p. 126 나 자신에 관해 말한다면, 나는 소설 쓰기의 많은 것을 매일 아침 길 위를 달리면서 배워왔다. 자연스럽게, 육체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얼마만큼, 어디까지 나 자신을 엄격하게 몰아붙이면 좋을 것인가? 얼마만큼의 휴양이 정당하고 어디서부터가 지나친 휴식이 되는가? 어디까지가 타당한 일관성이고 어디서부터가 편협함이 되는가? 얼마만큼 외부의 풍경을 의식하지 않으면 안 되고, 얼마만큼 내부에 깊이 집중하면 좋은가? 얼마만큼 자신의 능력을 확신하고, 얼마만큼 자신을 의심하면 좋은가? 만약 내가 소설가가 되었을 때 작정하고 장거리를 달리기 시작하지 않았다면, 내가 쓰고 있는 작품은 전에 내가 쓴 작품과는 적지 않게 다른 작품이 되어 있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 든다. 구체적으로 어떤 차..